본문 바로가기

보건사업

보건사업 정신건강 우울증치료관리비 지원사업

우울증치료관리비 지원사업

에이즈관리

  • 생애주기

    전체

  • 수혜자특성

    아동/청소년 / 청년 / 중장년 / 노년

  • 서비스내용

    에이즈관리(AIDS)

    • 기간 : 연중
    • 검사시기 : 항체미형성 기간이 일반적으로 6-14주로 보고 있으나 의심나는 행동이 있은 후로 12주 이후 검사 권장
    • 수수료 : 무료

    문의 : 보건소 감염병관리팀(☎ 540- 5612)

    에이즈 진료병원에서 보건소를 통하여 지원되는 치료제(항바이러스제제)인 지도부딘을 무료로 투약받을 수 있습니다.

    에이즈란?

   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으로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(HIV)가 인체에 침투하여 면역기능을 저하시킴으로 각종질병에 노출되어 사망에 이르는 병입니다.

    • A Acquired

      후천성

    • I Immune

      면역

    • D Deficiency

      결핍증

    • S Syndrome

      증후군

    에이즈의 위험성

    • 예방백신/완치제없음(아직까지 예방 백신이나 완치제는 연구중입니다. 확실한 예방이 훌륭한 처방입니다.)
    • 폭발적 증가 : 감염자와의 성접촉
    • 무증상기 평균 10~12년
    • 감염인의 95%가 감염사실을 모름

    감염경로

    • 감염인과의 성접촉 단 한번의 성관계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.
    • 감염된 혈액 - 수혈, 감염된 사람과 주사기 공동사용
    • 모자감염 - 감염된 산모로부터 아기가 태어날 때

    에이즈의 발병단계

    • 급성감염기 : 감염 1개월 이내 초기 증상기 감기 증세와 대단히 흡사하게 나오지만, 정도가 다르고 또한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  • 무증상기 : 바이러스는 몸안에 있지만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이 없고, 정상인과 구별이 안되며 10~12년 종도의 잠복기간이 있습니다.
    • 발병기 : 에이즈 관련 증후군 시작

      HIV에 감염된지 10~12년 후에 약 50%가 에이즈 환자가 될수 있으므로 미리 전문의사와 상담하여 치료해야 합니다.

    감염여부 검사

    • 조기검사의 필요성 : 바이러스의 증식과 돌연변이를 조기에 억제하여 HIV-RNA수를 줄임으로써 정상적인 면역체계를 유지, 에이즈 발병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.
    • 검사는 3개월 후 : 감염의심 행위를 하였다면 3개월이 지나서 검사를 받읍시다.
    • 증상보다 검사로 판단 : 쓸데없이 걱정하기보다는 검사를 받아 음성판정이 나오면 여러번 재검사를 받을 필요가 없습니다.
    • 무료익명검사

      보건소 : 인근 보건소에 가시면 무료로 익명으로 검사하실 수 있습니다.

    에이즈의 증상

    초기증상
    • 임파선이 붓는다.
    • 발열이 반복된다.
    • 취침시 식은땀을 흘린다.
    • 피곤이 지속된다.
    • 원인없이 체중이 급격히 감소한다.
    • 설사가 지속되고 식욕이 없어진다.
    • 입안에 백태나 홍반이 생긴다.

    이상과 같은 증상이 있다고 해서 모두 에이즈는 아닙니다. 그러나 수주간 계속된다면 가까운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아보십시요.

    에이즈예방방법

    • 성접촉 : 무분별한 성접촉을 삼가고 배우자와의 건전한 성관계가 최선의 예방책이지만 부득이한 경우 콘돔을 정확히 사용하면 예방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면도기, 칫솔, 침, 의료기구 등은 1회용 또는 개인용퓸을 사용하거나 소독하여 사용한다.

    정부의 지원

    감염인을 위한 정부의 지원은?
    • 정부와 민간단체에서는 감염인을 격리하거나 차별대우하지 않고 오히려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    •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서 보건상담과 건강진단을 통해 에이즈 발병억제제를 무료로 제공합니다. 진료시 치료비를 정부와 도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.
    • 감염인을 위한 쉼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    감염인의 쉼터

    • 숙식쉼터 (02) 2636-8060
    • 정보쉼터 (02) 747-4071

    에이즈 상담 및 문의

    • 보은군보건소 감염병관리팀 : ☎) 540-5612
    • 민간단체
      • 에이즈 정보센터 : www.aidsinfo.or.kr
      • 구세군 레드 리본센터 : 02) 733-3025
      • 대한 에이즈예방협회 : 1588-5448
      • 한국 에이즈퇴치연맹 : 1588-2437

    에이즈는 일상생활에서 감염되지 않습니다

    에이즈는 감염인과 함께하는 식사, 목욕, 함께 운동하며 흘리는 땀, 포옹, 악수, 가벼운 입맞춤, 모기 등 벌레 물림과 같은 일상생활로는 감염되지 않습니다.

    에이즈 예방을 위한 세가지 방법

    • 올바른 콘돔사용
    • 보건소 익명검사
    • 건전한 성 생활

담당자 정보

  • 담당부서 보건소 보건행정과 의약보건팀
  • 전화번호 540-5668